6월11일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사상최저 1.5% 로 낮췄습니다. 이에따라 시중은행도 여러가지 상대 금리조건에 맞춰 금리를 낮출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나 대출금리보다는 예금금리를 낮출것입니다. 엊그제 농협 1년짜리 자유적금통장을 알아보았더니 1.8% 정도의 금리밖에 되지 않더군요.
지금 연봉(연급여 총액)이 5천만원 직장인이 아직 재형저축이 없다면 서둘러야 합니다. 특히나 고정금리형 재형저축은 금리 하락이 불가피 할것이기 때문입니다.
재형저축 가입할때는 2개이상으로 나눠 가입하자
저축을 할때 통장을 쪼갠다는 얘기를 들어보셨나요. 만일 '내가 저축할 여력이 월 50만원이다'라고 한다면 해당 금액전부를 하나의 통장에 몰아넣기 보다는 통장을 몇개로 나누기를 권하는 겁니다. 물론 약간의 불편이따르겠지만 요즘은 인터넷뱅킹사용과 자동이체도 있어 한번 셋팅해놓으면 별다른 불편을 못느낍니다.
그럼 왜 통장을 나눌까요?
일단 급한돈이 필요할경우입니다. 대부분의 저축상품은 중도해지시 최초 가입당시 금리보다 상당히 불리합니다. 심지어 금리를 전혀 안주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보험사 상품은 마이너스가 되기도 합니다. 이럴때 급한 이유로 해지를 하게 되면 상당히 손해 입니다. 특히나 저축금액 전부가 아닌 일부만 필요한경우라면 말이죠.
그래서 통장을 몇개로 나눠 20만원 + 20만원 + 10만원 정도로 나누는게 좋다는 겁니다.
특히나 가입자중 1년이내 해지 비율이 높다는 점도 참고하는게 좋습니다.
재형저축도 여러개 가입가능합니다. 단지 가입한도가 있을뿐,
재형저축통장의 개수는 상관없습니다. 단지 분기별 불입한도 300만원이 있으며 연간 1200만원까지만 가입가능합니다. 즉 다른 은행으로 나눠가입해도 상관이 없으며 이는 은행전상만을 통해 통합한도가 관리됩니다.
중도해지 이율도 따져보자.
재형저축은 7년을 불입해야 합니다. 부득이 중도해지를 해야 할 경우 어떤 통장을 해지해야 할까요? 당연히 중도해지 이율이 높은곳이어야 합니다. 중도 해지이율은 가입당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금리가 비슷한 조건이라면 이왕이면 중도해지이율이 높은 곳에서 가입하는게 좋습니다.
특히나 저축은행의 경우 겉으로 보이는 재형저축이율은 높으나 중도해지시 이자지급조건이 시중은행보다 대부분이 경우 안좋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 재형저축 시중은행금리 비교 (전국은행연합회자료)- | |||
은행 | 상품명 | 금리(%) | 은행 확인일 |
7년 | |||
경남 | 고정금리재형저축 | 3.00 | 2015-05-21 |
경남 | 재형저축 | 4.00 | 2015-05-21 |
광주 | KJB변동금리재형저축 | 3.90 | 2015-05-22 |
광주 | KJB고정금리재형저축 | 2.80 | 2015-05-22 |
국민 | KB국민재형저축 고정금리형 | 3.20 | 2015-05-21 |
국민 | KB국민재형저축 | 4.20 | 2015-05-21 |
기업 | IBK재형저축(3년 고정금리형) | 4.20 | 2015-05-21 |
기업 | IBK재형저축(7년 고정금리형) | 3.20 | 2015-05-21 |
농협 | NH농협 행복 재형저축(변동금리형) | 4.30 | 2015-06-11 |
농협 | NH농협 행복 재형저축(고정금리형) | 3.10 | 2015-06-11 |
대구 | DGB재형저축 | 4.25 | 2015-05-20 |
대구 | DGB고정금리재형저축 | 3.25 | 2015-05-20 |
부산 | BS재형저축 | 4.10 | 2015-05-26 |
부산 | BS금리안심재형저축 | 3.10 | 2015-05-26 |
산업 | KDBdream/재형저축 | 4.40 | 2015-05-21 |
수협 | 신재형저축 | 4.30 | 2015-05-21 |
신한 | 신한 세(稅)테크 재형저축 | 4.10 | 2015-05-21 |
신한 | 고정금리 재형저축 | 3.20 | 2015-05-21 |
외환 | 신재형저축 | 4.10 | 2015-05-21 |
우리 | 우리희망재형저축(고정형) | 3.20 | 2015-04-21 |
우리 | 우리희망재형저축(혼합형) | 4.20 | 2015-04-21 |
전북 | JB 재형저축 | 4.00 | 2015-05-22 |
제주 | 제주 재형저축 | 4.20 | 2015-05-22 |
하나 | 하나 고정금리 재형저축 | 3.10 | 2015-05-22 |
하나 | 하나재형저축 | 4.10 | 2015-05-22 |
한국SC | 재형저축통장 | 3.70 | 2015-05-20 |
한국씨티 | 재형저축 | 3.40 | 2015-06-09 |
재형저축 가입시 주의점
끝으로 재형저축은 최소7년간 상품을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중간에 해지시에는 세제혜택도 사라질뿐아니라 금리에 대한 손해도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 안목을 갖고 가입설계를 해야합니다.
미래는 쉽게 예측하기 어렵죠, 저축에 대한 희망은 좋지만 자칫 무리한 욕심이 손해를 가져올 수 있기때문에 통장쪼개기를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끝으로 재형저축 가입기간은 올해 2015년 12월31일 까지만 입니다. 계획있다면 빠른 가입이 필요합니다.